우리 학교는 1학년 사회 교과 시간을 활영하여 전 학생 토론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. 학생들은 토론에 관한 교사의 특별 지도를 이수한 후 매주 1회씩 자율적으로 선택한 시사 주제를 두고 진지한 토론을 펼치는데,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논리력과 시사에 대한 이해도, 상호 이해도를 발전시킬 수 있다.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체적으로 삶의 문제에 대한 견해를 갖고 이를 논리적으로 서술할 줄 아는 진정한 민주시민의 역량을 갖추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. 뉴스 제작을 준비하고 실제로 관객 앞에서 상영하는 일은 IT를 활용한 다양한 발표 기법을 학습하게 하고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방법의 중요성과 그 방법 자체를 깨닫게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. 이렇게 지속적으로 학습된 토론 및 발표 수업의 결과는 여러 개의 국회의장상을 비롯해 기존의 북일여고 학생들이 거둔 각종 토론 및 논술대회에서의 성과에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.
1. 1학년 전학생 토론 수업
- 토론진행과정 | 시간 | 활동 | 담당 | |
---|---|---|---|---|
1 | 도입 | 3분 | 주제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. | 사회자 |
2 | 기조 발제 | 6분 | 각 3분 이내로 주제에 대한 입장 발표 | 발제자 |
3 | 1차 의견 조사 | 1분 | 토론 전에 주제에 대한 의견을 조사 | 사회자 |
4 | 토론 | 25분 | 토론을 하면서 쟁점을 형성하고 상호 공박 | 청중, 교사 |
5 | 2차 의견 조사 | 1분 | 토론한 후에 주제에 대한 2차 의견 조사 | 사회자 |
6 | 정리 및 결론 | 1분 | 토론 내용 종합 정리 및 결론 | 사회자 |
7 | 교사 | 평가 | 10분 쟁점 정리, 토론 평가 | 교사 |
사회자 | 도입: 배경 설명 및 개념 정의 맺음말: 토론 내용에 대한 정리 및 대안 제시, 토론 평가 토론 진행 능력: 발언 요약 능력, 중계 능력, 논점 제시, 적절한 목소리(tone)구사 전체 판을 읽는 능력과 주도권: 전체 분위기를 파악하고 주도권 잡기 |
---|---|
발제자 | 발제문 작성: 소논문 형식(완성된 문장으로 정리할 것) 기조 발언: 설득력, 목소리(tone) 토론: 주도권 행사, 자료 제시 |
보고서 | 보고서 형식에 맞게 작성 (토론게시판 유의사항 필독) 토론(논쟁) 요약 능력 |
블로거 | 취재 기사 작성: 사진을 7~12컷 정도 올리고 사진에 대해 설명을 하는 형식으로 토론의 흐름 정리 평가 포인트: 토론조 및 관객의 분위기 파악, 토론의 주요 논점 캐치, 사진 feel |
2. 선택형 토론 심화 수업
차시 | 1타임 (16:10~16:55) | 2타임 (17:00~17:40) |
---|---|---|
1 | 교사소개, 인터뷰식 자기 소개 | 활동 계획 |
2 | debate 1(2+1) | 사회과학 주요 논점 1 |
3 | debate 2(2+1) | 사회과학 주요 논점 2 |
4 | 반박 훈련 | CEDA 이해 |
5 | ceda battle 1(2+2) | ceda battle 2(2+2) |
6 | ceda battle 3(2‘+2’) | ceda 평가 |
7 | 초청인터뷰 토론 | 부산토론대회 안내 |
8 | 소논문쓰기 1 | 소논문쓰기 실제 |
9 | 원탁토론 | 브레인스토밍 |
10 | 입학사정관 면접의 이해 | 자기 소개(1+@) |
11 | 그룹토론 1 (2+2) | 그룹토론 2 (2+2) |
12 | 심층면접(2+@) | 학기 정리 |
시간 | 일정 | 비고 |
---|---|---|
14:00~14:30 | 개회 및 인터뷰식 자기 소개 | 진행 : 유환성 / 도서관 |
14:30~16:00 | 인터뷰 토론 1 : 토론과 논술, 그리고 대입 | 졸업생 선배 |
16:00~17:30 | 말하기 훈련 | 진행 : 유환성 |
17:30~18:30 | 저녁 식사 및 휴식 | |
18;30~20:00 | 인터뷰 토론 2 : 나에게 토론이란? | 졸업생(토론 특기자) |
20:00~21:00 | 반론 훈련 | 진행 : 유환성 |
21:00~21:30 | 간식 | |
21:30~22:00 | 주제 토론 준비 | |
22:00~23:30 | 주제 토론(3개조 편성) | 유환성, 졸업생 진행 |
23:30~24:00 | 토론 평가 | |
24:00~02:00 | 심층 면접 실전 및 말하기 클리닉 | 진행 : 면접경험졸업생 스탭 |
02:00~06:50 | 자유 시간 및 취침 | |
06:50~07:30 | 아침 식사 및 폐회 |
4. 각종 토론대회 참가
시기 | 입상 경력 | |
---|---|---|
부산토론대회 | 예선 : 6월 중순, 본선 : 7월 하순 | 국회의장상, 최우수상 외 다수 |
광주토론대회 | 예선 : 8월 초순, 본선 : 9월 하순 | 국회의장상 외 다수 |
각종 debate | 경희대, 숙명여대, 국회 사무처, 자유총연맹, 기타 | 대상, 최우수상 외 다수 |
순서 | 담당 | 내용 | 시간 | 제작팁 |
---|---|---|---|---|
오프닝 | 앵커 | 시그널 - 오늘의 주요뉴스 오프닝 멘트 |
3분 이내 | 1. 시그널-로고영상, 음악 2. 주요뉴스 - 영상과 자막삽입 |
보도국 | 시사 기자1 | 국내외 주요 뉴스 1건 브리핑 | 각 5분 이내 (10분) |
1. 뉴스동영상캡쳐(다바다) 2. 뉴스 링크 3. 사진과 Text |
시사 기자2 | ||||
지금 우리는 | 교내 기자1 | 학급, 학교 등 북일 생활 뉴스 동영상으로 표현 카페에 탑재 |
각 5분 이내 (10분) |
1. 각자 촬영후 편집 2. 유의 : 코덱, 영상 저장 형식 3. USB 이용 |
교내 기자2 | ||||
이슈 토론 | 토론 기자 | 주간 쟁점에 대한 찬반 토론 | 15분 이내 | 간단한 소개(3분 내외)후 토론 및 최종 정리 |
클로징 | 앵커 | 클로징 멘트 엔딩 크레딧 |
2분 이내 | |
총연출 | PD | 각 뉴스 받아 PPT 편집 | ||
최종 정리 | 블로거 | 뉴스 내용 및 분위기를 기사화 | 뉴스후 일요일까지 |
벼리네 교실 카페 탑재 |